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지금 제 뒤로 유럽에 있는 북한 대사관들 모습이 보이는데요. <br> <br>북한 대사관의 경우 외교관들이 안에서 숙식도 함께 하고 서로 감시도 해 개별 행동이 쉽지 않습니다. <br> <br>그런데도 유럽이 주된 망명 탈북 루트가 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올해 들어 한국에 입국한 탈북자 수가 40명 안팎으로 늘자 북한도 감시체계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계속해서 김성규 기자의 단독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가족 일부와 망명한 참사관급 외교관과 또다른 망명 주재원들은 모두 유럽 내 북한 대사관에서 근무했습니다. <br> <br>엘리트들의 탈북 경로가 최근 유럽으로 집중되고 있는 겁니다.<br> <br> 앞서 영국 주재 북한대사관 공사로 있다 2016년 탈북한 태영호 국민의힘 의원, 2019년 이탈리아에서 망명한 조성길 당시 대사대리도 모두 유럽에서 건너왔습니다. <br> <br>[김용현 /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] <br>"서방세계라는 (유럽 지역적) 특색이 탈북을 좀 더 용이하게 하고 있는 것 아닌가. 특히 외교관들의 활동이 제약되지 않고 좀 더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공간이 (유럽이죠)." <br> <br> 유럽에서 온 북한 엘리트층을 포함해 최근 망명을 타진하는 북한 외교관이나 해외 근무자의 추가 움직임이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> <br> 정보 당국자에 따르면 현재까지 올해 한국에 들어온 북한 탈북자 수는 40명 안팎에 달합니다. <br> <br>한 동안 1000명을 넘던 탈북자 수는 문재인 정부 시절 탈북 선원 강제 북송 사건과 이듬해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며 60명 대까지 급감했습니다.<br> <br>대북 소식통은 "전 정권에서는 탈북을 해도 환영받지 못했지만 지금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 북한 외교관들 사이에도 퍼졌다"고 분위기를 전했습니다.<br> <br> 지난 정권 시절 중단됐던 고위 탈북 인사의 국정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임용이 최근 재개된 것도 이를 뒷받침 합니다. <br> <br> 북한은 외교관 등의 탈북을 막기 위해 남편과 아내가 동시에 외출을 하지 못하게 하는 등 감시 체제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조성빈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